안녕하세요 HoHokim입니다^^ 오늘은 금관악기 중 제일 저음을 담당하는 튜바라는 악기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저도 금관악기를 알아보고 조사하면서 금관악기 중 튜바라는 이 큰 악기가 제일 접하기 쉽지 않았는데요 흠..! 저가 알아본 튜바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

튜바는 호른보다 무거우며, 그와 비슷한 장중한 음을 만들어낸다고 합니다. 모양과 구조가 다양하고 지공(로터리)이 있는 베이스트럼펫의 일종인 세르팡(serpent)과 키가 달린 베이스 뷰 글(bass bugle)인 오피 클레이드(ophicleide) 등의 이국적 악기에서 유래하였다고 합니다. 원래는 곧고 길게 만들어진 로마의 트럼펫 이름이었으며, 트럼펫을 가리키는 중세 라틴어였다고 합니다
1835년 베를린의 빌헬름 비프레흐트(Wilhelm Wieprecht)와 요한 곳 프리트 모리츠(Johann Gottfried Moritz)가 1835년 5개의 밸브가 달린 F음 베이스 튜바의 특허를 얻었고 , 그 후의 디자인들은 프랑스의 콘트라베이스 색스호른의 영향을 받은 것이었다. 다른 금관악기들과 마찬가지로 19세기 초 악기 제작자들에 의하여 많이 개량되었다고 합니다. 이 악기의 열렬한 애호가였던 프랑스 작곡가 루이 엑토르 베를리오즈(Louis-Hector Berlioz)는 1830년대 자신의 작품에 최초로 이 악기를 사용하였다고 하는데요. 그 뒤를 이어 리하르트 바그너(Richard Wagner)는 악극 《니벨룽의 반지 Der Ring des Niebelungen》에서 사용하였는데, 그는 특히 이 작품의 특수효과를 위해 4개의 밸브 구멍이 달린 작은 튜바를 고안하여 '바그너 튜바'(이 악기는 호른 주자들이 연주한다고 합니다)라고 명명하였다고 합니다. 구스타프 말러(Gustav Mahler)는 작곡할 때 간혹 독주 악기로 사용하였다 튜바라는 호칭은 매우 애매하게 쓰이고 있으며, 종류도 또한 많다. 즉 튜바라는 것은 오케스트라나 취주악에서 가장 낮은음 넓이를 담당하는 금관악기로서 밸브에 의한 변 음장 치를 가진 것의 총칭이다. 역사는 짧으며 1820년대 독일에서 금관악기를 위한 밸브장치가 발명된 직후 낮은음의 호른으로 제작된 것이 맨 처음이므로 트럼펫과 호른같이 밸브가 없는 전신(前身) 악기는 존재하지 않는다. 가장 대표적인 것은 고음역용에서부터 차례로 작은 베이스·가온 베이스·큰 베이스라고도 한다. 마우스피스는 트럼펫을 닮아 굽었고 호른같이 깊은 캡 모양이다. 금관악기 중 관의 길이에 대한 단면적인 비율이 가장 큰 관을 가졌고, 관은 거대한 벨을 향해 원추형이다. 이러한 구조로 인해 음 빛깔은 부드럽고 또한 저배음의 취주는 다른 것에 비하여 보다 쉽다. 밸브는 기본적으로는 3개가 있으나, 보다 낮은음의 취주를 가능케 하기 위하여 4-6개의 밸브를 가진 것도 있다. 그리고 우포늄과 비슷한 형태입니다

트럼펫과 비슷하면서 더 크고 깊다

호른과 비슷하게 로토리로 움직입니다
이렇게 튜바는 금관악기에서 제일 크고 웅장하고 제일 저음을 내는 금관악기인 튜바였는데요
튜바는 어렵습니다 자세하게 나온 설명도 몇 군데 없고
ㅠㅠ미흡한 설명이였습니다